-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ypertext 문서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 마크업 문서
-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메세지 감청이 매우 쉽다
- 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SL(Secure Socket Layer)
- 보안이 강화된 HTTP이다.
- HTTPS vs SSL
- HTTPS와 SSL을 같은 의미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 인터넷 위에서 웹이 작동하는 개념과 유사하게 SSL 위에서 HTTPS가 작동한다.
- 통신계층(OSI 7 Layer vs TCP/IP 4 Layer)과 SSL/TLS의 관계
-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계층화를 함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표준 모델
- TCP/IP 계층 :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된 모델
-
OSI 7 Layer Model(표준) TCP/IP Layer 7 응용 계층 Layer 4 응용계층 Layer 6 표현 계층
(SSL)Layer 5 세션 계층 Layer 4 전송 계층
(TCP/UDP)Layer 2 전송 계층 Layer 3 네트워크 계층
(IP)Layer 2 인터넷 계층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1 네트워크 엑세스 Layer 1 물리 계층
(LAN 카드)
반응형
'개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ID 원칙 (1) - 들어가기 (0) | 2024.02.21 |
---|---|
Let's Encrypt 작동 방식과 장점 및 단점 (0) | 2024.02.19 |
HTTPS와 SSL/TLS 암호 통신의 이해 (0) | 2024.02.16 |
혼합 콘텐츠 정리 (0) | 2024.02.15 |
SSL과 TLS (0) | 2024.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