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스프링부트-게시판만들기4 회원 및 게시판 테이블 만들기 DROP TABLE IF EXISTS `BOARD`; CREATE TABLE IF NOT EXISTS `BOARD` ( `no` bigint(20) NOT NULL AUTO_INCREMENT, `title` varchar(255) NOT NULL, `content` text NOT NULL, `user_no` bigint(20) NOT NULL, `created_at` datetime DEFAULT current_timestamp(), PRIMARY KEY (`no`), KEY `user_no` (`user_no`), CONSTRAINT `fk_board_user` FOREIGN KEY (`user_no`) REFERENCES `USER` (`no`) ); DROP TABLE IF EXISTS `COMM.. 2024. 4. 11. 스프링부트 MariaDB 연결해보기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 확인하기 1. DB 정보 설정하기 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에 본인 환경에 맞게 입력한다. spring.datasource.url=jdbc:mariadb://localhost:3306/데이터베이스명 spring.datasource.username=사용자이름 spring.datasource.password=비밀번호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mariadb.jdbc.Driver 2. DB 연결 성공 여부를 체크하는 코드 작성 간단하게 성공 여부만 체크하는 코드를 메인 클래스에 작성한다.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org.slf4j.L.. 2024. 4. 4.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해보기 1. STS 설치하기 https://spring.io/tools에 접속하여 MACOS에 본인 맥에 맞는 아키텍처로 설치한다. 잘 모르는 경우 터미널을 열어 uname -m을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2. STS 실행 및 프로젝트 생성 File - New - Spring Boot > New 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하고 Next를 누른다. 3. 프로젝트 초기 설정하기 Name에는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다. Type은 Gradle(Groovy), Java Version은 17, Language는 물론 Java를 선택한다. Package는 WAR와 JAR가 있는데, 먼저 가볍게 로컬에서만 실행할 것이므로 JAR를 선택한다. JAR 파일 독립 실행형 애플리케이션: JAR 파일 형식은 스프.. 2024. 4. 3. 맥북에어에 Homebrew 및 OpenJDK 17 설치하기 Homebrew란 무엇인가? Homebrew는 macOS와 Linux 사용자를 위한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자이다. 소프트웨어 설치와 관리를 쉽고 간편하게 만들어 준다. Homebrew의 주요 기능 패키지 설치 간소화: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명령 한 줄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의존성 자동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필요한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해 준다. 버전 관리: 설치된 패키지의 버전을 쉽게 관리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Homebrew 설치 터미널 열기: Finder에서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 터미널을 차례로 열어 터미널을 시작한다. Homebrew 설치 명령어 실행: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붙여넣고 실행한다. /bin/bash -c "$(curl -fsS.. 2024. 4.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