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ttps2

HTTPS와 SSL/TLS 암호 통신의 이해 HTTPS는 SSL/TLS 암호 통신을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 방식이 모두 사용된다. 대칭키 방식 대칭키 방식은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비밀키를 사용한다. 이 방식은 속도가 빠르지만, 비밀키 관리와 유출 위험에 취약하다. 비대칭키 방식 비대칭키 방식에서는 공개키와 개인키(비공개키)가 사용된다.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되며, 개인키는 비공개로 유지된다. 비대칭키 방식은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개인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다. 또한, 개인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공개키로 복호화 가능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SSL 작동 원리 악수 과정: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악수 과정을 통해 서로를 인식하고 암호화 방식을 협상한다. 인증서 교환 및 검증: 서.. 2024. 2. 16.
HTTP, HTTPS, SSL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문서인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 마크업 문서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메세지 감청이 매우 쉽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SL(Secure Socket Layer) 보안이 강화된 HTTP이다. HTTPS vs SSL HTTPS와 SSL을 같은 의미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 위에서 웹이 작동하는 개념과 유사하게 SSL 위에서 HTTPS가 작동한다. 통신계층(OSI 7 Layer vs TCP/IP 4 Layer)과 SSL/TLS의 관계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계층화를 함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 2024.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