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바18

기본 타입 타입(Data Type)은 해당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자바에서는 이런 형태를 미리 정의하여 제공하고 있다. 정수형 타입 정수형 타입 할당되는 메모리 크기 데이터의 표현 범위 byte 1바이트 -128 ~ 127 short 2바이트 -2^15 ~ (2^15 - 1) -32, 768 ~ 32,767 int 4바이트 -2^31 ~ (2^31 - 1) -2,147,483,648 ~ 2,147,483,647 long 8바이트 -2^63 ~ (2^63 - 1)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정수형 데이터 타입을 결정할 때는 반드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 2022. 9. 7.
자바의 상수 상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다. 1. 상수의 선언 final String NICKNAME = "WUSDLQSLEK";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반드시 초기화를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모두 대문자를 사용하여 선언하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 '_'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2. Literal(리터럴) 변수 또는 상수에 할당된 값을 의미 타입에 따른 리터럴 정수형 : 123, -456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와 부호로 직접 표현 실수형 : 3.14, -45.6과 같이 소수 부분을 가지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 논리형 : true, false로 표현 문자형 : 'a', ZZZZ'와 같이 작은 따옴표로 감싸진 문자로 표현 문자열형 : "TEST", "자바"와 같이 큰 따옴표로 감.. 2022. 9. 5.
자바 프로그램 1(기본 구조, 변수) 1. 기본 구조 class Test{ int aaa;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ln("안녕, 세상아!"); } } - 자바는 가장 처음 main() 메소드를 찾아 가므로, 자바 프로그램에는 main() 메소드를 가지는 클래스가 반드시 하나는 존재해야한다. - public class가 존재하면 소스 파일의 이름은 public class 명과 같아야하며, 이러한 public class는 단 한개만 가질 수 있다. 2. 변수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 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1) 변수명 생성 규칙 * 영문자, 숫자, _, $로만 구성할 수 있다. *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 변수명 사이에 공백.. 2022. 9. 4.
자바 실행순서 및 프로그램 1. 자바 실행 순서 2. 자바 프로그램 자바 컴파일러는 자바 소스 코드를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자바 바이트 코드로 변환한다 자바를 설치하면 javac.exe라는 실행 파일 형태로 설치된다. 자바 바이트 코드는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된 자바 소스 코드를 말한다. 변환되는 코드의 명령어 크기가 1바이트라 자바 바이트 코드라 불리며, .class 확장자를 갖는다. JVM만 설치되어있으면 어떤 운영체제에서도 실행이 가능하다. JVM은 자바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의 기계이다.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전혀 다른 운영체제라도 JVM만 설치되어있다면, 추가 조치 없이 동작할 수 있다. 단, JVM은 운영체제에 따라 맞는 JVM을 설치해야 한다... 2022. 9. 4.
반응형